본문 바로가기

자동차/DIY

캡티바 퓨즈 박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요즘 블랙박스 네비 락폴딩등 실내 퓨즈 박스에서 전원을 많이 따는데요...


업체에서 작업을 하셨더라도 기본적인 정보를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듯하여 간단하게 알려 드릴께요...

ACC와 상시에 대해서만 알아보죠..(제일 많이 사용하는 퓨즈 전원입니다.)

ACC는 차량에 키온 상태에서 주행 하는 동안 들어 오는 전원이며, 블랙박스에서 ACC 전원을 물리는 이유는 주행 모드(ACC ON)와 주차모드(ACC OFF)전환을 하기 위해 ACC전원을 인가 시킵니다.
ACC에 물리지 않는 블랙박스의 경우 주차 모드와 주행 모드 구분을 일정 시간 움직임이 없을 때 전환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는 블랙박스 제조사 마다 다를 수 있으니 해당 블랙박스 메뉴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상시전원 차량의 상태와 관계 없이 항상 인가 되는 전원입니다.
블랙박스의 주전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블랙박스 자체 저전압차단 장치가 없다면 상시전원에 저전압방지 소켓을 연결하고 여기에 블랙박스를 연결하여 차량 밧데리가 저전압이 되면 저전압방지 소켓에서 전원을 차단하여 방전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캡티바 실내 퓨즈박스에서 ACC와 상시전원 찾기

캡티바 오너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메뉴얼 먼저 보겠습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1열 시거잭 8번 2번 시거잭 7번 트렁크 시거잭 9번입니다.

붉은색으로 ACC인지 상시인지 구분해두었구요.

제가 ACC 연결을 할 때 7, 8번 중 7번에 연결하라고 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1열 시거잭을 운전자가 많이 사용하므로 2열 시거잭 퓨즈에 연결하라고 합니다. 만약 2열 퓨즈에 네비등이 있다면 1열에 하시는게 좋겠죠.
(1열과 2열 한곳에 모으지 마시고 분산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야외에서 시거잭 연결이 필요할 때 트렁크 열고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방전에 주의하시구요)




아래는 메뉴얼의 퓨즈박스 그림에는 8,9,10번에 밑줄이 그어져 있습니다. 위에 표에서는 7,8,9번이었는데 말이죠.

이건 메뉴얼의 아래 그림에서 위치가 잘 못 된것입니다. 실제 모습에 알려드릴께요.



지금부터는 실제 모습입니다.
퓨즈함이 보이시죠..




퓨즈함 뚜껑에도 이렇게 퓨즈의 용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위의 메뉴어 퓨즈함 그림이랑 차이점 아시겠습니다.
위치와 숫자가 잘 못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껍니다.




아래는 퓨즈 모습입니다.




사진과 그림은 메뉴얼과 http://cafe.naver.com/srbestclub/49886 사이트의 자료를 사용하였습니다.

점심 맛있게 드시고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